아리스토텔레스는 스승 플라톤의 수제자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BC 384 ~ 322 궁정에 주치의 가문에서 태어났다. 아리스토텔레스는 17세의 나이에 플라톤의 제자가 되어 20년 동안 그의 밑에서 수학하였다. 플라톤에게 학문을 배운 뒤에 마케도니아로 가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가르친 후 말년에는 아테네로 다시 돌아와 뤼케이온이라는 교육기관을 세워 후학을 양성하고 저술 작업을 하는 데 힘을 쏟았다.
어떤 삶이 가장 행복한 삶인가?
논리학, 형이상학, 천문학, 대기과학,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 미학, 생물학 등 아리스토텔레스가 다루지 않은 분야가 없을 정도로 다양한데, 여기서는 윤리학 부분만 다뤄 보고자 한다. 윤리학 중에서도 그의 사상을 잘 알 수 있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살펴볼 것이다.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주요 내용은 ‘어떤 삶이 가장 좋은 삶인가? 어떤 삶에 가장 행복한 것인가?’에 대해서 다루고 있으므로 그의 행복론이 과연 무엇인지 잘 간파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살면서 기술을 배우고 여러 가지 경험을 하고 의사선택을 내리는데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런 선택을 내리는 이유는 어떤 좋음을 위해서라고 말한다. 쉬운 말로 잘 살아보기 위해서 어떤 의사결정을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좋음에도 우열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가장 좋음은 행복이라고 부른다.
행복은 덕을 따르는 활동이다
사람들은 저마다의 행복의 기준이 있겠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객관화하려고 노력을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행복은 이성에 따른 영혼의 활동이라고 말한다.
오직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최대한의 장점을 끌어내는 것이 인간의 최고로 누릴 수 있는 행복이다. 희랍인들은 무엇인가 월등하게 해내는 것을 덕이라고 불렀다. 행복은 덕에 의한 영혼의 활동인 것이다. 무언가 월등하게 해낼 때 사람들은 행복감을 느낀다. 따라서 우리의 행복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덕에 의한 행동이고 그에 반대되는 활동은 불행에 지기도 하는 것이다. 행복은 쉽게 변할 수 있는 그런 종류의 것이 아니다. 그것은 쉽게 버려지지 않는 것이며 누군가에 의해 또는 어떤 상황에 의해서도 좌지우지되지 않는 것이다. 만약 행복이 덕을 따르는 활동이라고 한다면 우리는 최상의 높은 덕을 따르는 것이 가장 합당하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까지 우리 안에 잠재되어 있는 능력 중에서 최고의 것을 따르려고 항상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이다.
행복하기 위해서는 좋은 습관을 형성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동물과 달리 인간의 고유한 활동은 이성적인 영역이라고 한다. 인간의 행복은 이성에 따른 영혼의 활동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서 어떻게 이성을 잘 따라야만 할까?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야 하고 좋은 습관을 형성해야 한다고 말한다.
성격의 덕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결국 습관을 통해 완성해 나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좋은 습관을 만들어 낸다는 것은 말은 쉽지만 행동에 옮기기라는 것은 참 어렵다. 항상 좋은 습관을 만들어야지 하면서도 몸은 예전에 익숙한 것을 선택하기 일쑤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으로는 행동 하나하나가 평생의 삶인 것이다. 행동 하나하나 소홀히 하지 않아야 될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처럼 어떻게 해야만 자신의 가진 가장 최고의 것을 이끌어낼 수 있을까. 그것을 성취하기 위해서 좋은 습관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좋은 습관의 테두리 안에 있다면 어느 정도 그날의 일과는 좋은 일을 했다고 보장을 받을 수 있다.
인간은 본능보다는 이성을 따를 때 행복을 느낀다
반면에 우리는 순간적인 쾌락이나 소확행 같은 것에 큰 의미를 두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런 것은 일시적인 만족감이나 쾌감을 충족시켜 줄 수 있지만 이성에 따른 영혼의 활동을 행복이라고 말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서는 벗어나 있는 것이다. 순간적인 만족감은 이성보다는 본능에 따르는 것이 가깝다고 말할 수 있겠다. 매일매일의 일상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 본능에 노출이 되어 있다. 식욕, 수면욕, 놀고 싶은 욕구에 노출되어 있다. 다이어트만 생각해 보아도 이것을 해결하지 못해 평생의 과제가 된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인간의 이성을 따라갈 때 행복감을 느낀다는 것을 항상 되새기면서 본능을 잘 억제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인간이 되어야 될 것이다.
'불교강의 > 인문역사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제강점기 시대의 서울의 모습 / 경술국치 1910년 나라를 잃다 (0) | 2023.04.02 |
---|---|
조선교육령 - 교행직 공무원이나 교사를 준비한다면 꼭 알아야 할 역사 (0) | 2023.04.01 |
독일의 철학자 아도르노의 행복론에 대하여 (0) | 2023.03.30 |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신흥종교 통일교, 대순진리회.. 거의 기업 수준인 종교단체들.. (0) | 2023.03.29 |
이슬람교 한국에서는 비호감이지만 세계 2위의 종교이다 / 이슬람교의 탄생 배경 (0) | 2023.03.29 |